2016년 2월 13일 토요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주변정세의 변화

내일을 여는 사람들 2014 여름시민강좌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주변정세의 변화>
안태형, 2014 7 1, LA 민족학교

1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중요성

한반도는 아직 전쟁 ? 정전체제의 평화체제로의 이행 필요
. 정치군사적 측면: 전쟁 위험성 상존, 남북 민주주의 발전 걸림돌
. 경제적 측면: 남북 모두 과도한 국방비 지출과 군사 부문 비정상적 성장으로 효율적 경제발전 어려움
. 사회문화적 측면: 남북 군사문화와 사회분위기, 적대감, 군복무 인력의 희생
. ???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 비전: “정전협정 군사적 대결구조를 통해 유지되고 있는 남북한 관련국 간의 관계를 새로운 조약 관련국 간의 관계의 개선으로 평화상태가 공고하게 한반도 주변의 국제질서 만들어 내는 것으로 소극적인 평화유지 아니라 적극적으로 한반도 평화의 여건까지 만들어 내는

2 상황과 문제점

. 한반도 비핵화 문제 (북은 핵무기를 포기할 것인가? 6자회담 재개 가능성 (선결조건과 진정성)? 어떻게 것인가? 평화체제 수립과 한반도 비핵화 병행적으로 해결 필요, 그러나 미국과 한국은 북한핵문제 해결 평화체제 수립 논의 주장)
. 한미동맹 문제 (한미동맹 필요한가? 한미동맹의 역사와 변화 가능성? 어떻게 것인가?)
.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 (아시아로의 회귀, 재균형 정책)
. 일본의 우경화 문제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안보위협?)
. ???

3 한반도 주변정세

. 북한: 김정은 체제의 등장: 국내외 정책 변화?
정책적 실수 줄여야 . 미국과 한국정치 구조에 대한 이해 필요
. 한국: 박근혜 정부의 통일대박론’? 북한붕괴론에 기반한 흡수통일론?
북한에 대한 이해와 사고의 근본적 전환 필요
. 미국: ‘전략적 인내’? 남북문제와 동북아 문제 포괄하는 새로운 한반도 정책 필요
. 중국: 세계 패권국가로의 부상 (중국몽): 한반도에서 어떤 역할을 것인가?
중국의 대북영향력, 정직한 중개자? 3 정책과 한반도 비핵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대화와 협상
. 일본: 아베 정권의 신보수주의? 북일화해 움직임, 집단적 자위권 행사 결정
(동맹국 타국이 공격을 받을 경우 자국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해 반격하는 국제법상 권리. 유엔헌장은 자국을 방어하는 개별적 자위권과 함께 집단 자위권을 주권국의 권리로 인정. 동안 일본은 일본도 집단 자위권에 대한 국제법상의 권리를 갖고 있으나 헌법이 인정하는 필요 최소한의 자위권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집단 자위권은 해사할 없다 헌법 해석. 일본 헌법 9조는 국제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전쟁과 무력행사를 영구히 포기한다 규정. 한반도 유사시 일본 자위대의 개입 가능성?)
. 러시아: 북러 경제협력 강화, 러시아는 경제협력 강화 희망, 북한은 외교관계의 다각화 추구

4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과제

무엇을 것인가? 남북이 가장 중요한 플레이어, 미중관계 변수, 한미일 삼각동맹 변수,
중일간 영토분쟁 변수 , 919 공동성명으로부터 재출발 필요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관계: 평화=통일은 아니지만 통일 없이는 궁극적 평화 어려움, 통일이 가장 좋은 대안, 그러나 통일 이전에도 평화구축 필요

. 한반도 비핵화 문제 해결
. 주변국 외교 (평화협정 체결 참여국? --, --, ---, 아니면 -+-?)
. 평화우호적 정부 수립 (선거참여, 정책 제안, 평화체제 수립을 2017 대선공약으로?)
. 시민운동 (반전평화 운동, 환경운동, 통일운동)
 . 재외동포들의 역할 (미국정부와 한국정부에 영향, 남과 북을 잇는 가교 역할 필요)

. ???

<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