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월 14일 일요일

The Biden Administration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Joe Biden was elected the 46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n November, 3, 2020, and the new Biden administration was subsequently launched on January 20, 2021. The Biden administration, which is expected to implement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that would b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 former Trump administration, is also expected to take a policy significantly distinct in relation to the Korean Peninsula issues.

In doing so, we look forward to establishing a more proactive Korean Peninsula peace policy from the Biden administration, both taking over the achievements and overcoming limitations of Trump’s “maximum pressure and engagement” policy and Obama’s “strategic patience” policy.

As a candidate, President Biden said, “With North Korea, I will empower our negotiators and jump-start a sustained, coordinated campaign with our allies and others, including China, to advance our shared objective of a denuclearized North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denuclearization and establish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most urgent task for stability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and for world peace, it is necessary for the Biden administration to closely cooperate wi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 partner of the US-ROK alliance and the most concerned party to the Korean Peninsula issues.

It is also imperative that in order to achieve the denuclearization and a permanen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wo most important diplomatic goals in the region, the two principles should always be kept: a diplomatic way through negotiations with Pyongyang, and a step-by-step, reciprocal solution based on action for action. In addition, the “denuclearization first” policy or CVID policy only based on sanctions and pressure, which the former administrations have tried in vain, should not be repeated.

The Biden administration has appointed key positions to deal with North Korea. Some of them argue that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s impossible or that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s not a reliable negotiating partner, neither of which is far from the truth. If the nuclear negotiation proces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since the Clinton administration is closely examined, we can see that North Korea has been seriously engaged in negotiations with the US. In dealing with North Korea, President Biden with expertise in the field of diplomacy should keep this in mind.

In order to negotiate with North Korea, furthermore, it seems desirable to attempt a combined approach from above and from below as necessary. While the Trump administration's top-down approach had a lot of limitations, the bottom-up approach expected from the Biden administration may also have limitations in the initiatives and timing of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two approaches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At the Eighth Congress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held in January this year, North Korea insisted that in order to establish new US-North Korea relations, the US withdraw its hostile policy against North Korea, and said that it would face the US with the tit-for-tat strategy. In fact, North Korea's argument is not new and still expresses a willingness to talk with the United States.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were developed not to preemptively attack the US, but as a deterrent to alleviate the security anxiety of the North Korean regime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the Soviet Union collapsed, and Chin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United States became the world's only superpower, and the gap in economic and military power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egan to widen enormously.

Time is not on our side. Even at this moment, North Korea's nuclear capabilities are increasing and becoming the most unstable factor in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The Biden administration should no longer waste time in the wishful thinking of the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 the foreseeable future. Instead, it should take as a starting point the principles and spirit of the Singapore Joint Statement agreed by President Trump and Chairman Kim Jong-un in 2018, where the two countries agreed on the establishment of new US-North Korea relations,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Biden administration should keep in mind that these three tasks are closely intwined and that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are two sides of the coin.

To facilitat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Biden administration, in close consultation wi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suspend the US-ROK annual joint military exercises as a concrete step to create a peaceful atmosphere and build mutual trust on the Korean Peninsula, return wartime operational command to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declare an end to the Korean War, and hold a summit meeting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as soon as possible.

President Biden will probably be very busy even now overcoming the COVID-19 pandemic and dealing with urgent domestic and foreign problems.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s also an urgent task that cannot be postponed any longer. We hope that President Biden will show a new leadership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o the world.

P.S. This article was published in The Road to Unification by the Orange County San Diego Chapter of the National Unification Advisory Council of the Republic of Korea.

바이든 행정부와 한반도 평화

 작년 11 3 선거에서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고, 올해 1 20 바이든 행정부가 새로 출범했다. 지난 트럼프 행정부와는 매우 차별화된 국내정책과 외교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든 행정부는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서도 트럼프 행정부와 뚜렷히 구별되는 청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한반도 정책과 관련해서 새로운 전략 마련 중이라고 알려진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압박과 관여정책이나 이전 오바마 행정부의 전략적 인내정책의 성과는 계승하고 한계는 극복하면서 보다 적극적이고 평화지향적인 한반도 정책을 수립하기를 기대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후보 시절 이미 한반도비핵화를 위한 북한과의 협상에서 협상실무진들에게 힘을 실어 주고 북한의 비핵화라는 공통된 목표를 위해 우리의 동맹국이나 중국을 포함한 한반도 문제 관련국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할 약속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동북아의 안정과 번영, 그리고 나아가 세계평화를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 하나인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서 특히 한미동맹의 파트너이자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인 대한민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야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가 한반도의 가장 중요한 외교적 목표인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북한과의 대화와 협상을 통한 핵문제의 외교적 해결과 행동과 행동 원칙에 따른 단계적, 호혜적 북핵문제 해결이라는 가지 원칙에 기반해야 한다. 또한 과정에서 전임 행정부들이 시도했으나 이미 여러 차례 실패했던 제재와 압박 위주의 선핵포기 후보상정책이나 CVID 정책을 다시 북한에 강요해서는 된다.

바이든 행정부에서 한반도 문제를 담당할 여러 부서 책임자들 몇몇은 북한의 비핵화가 불가능한 목표라거나 북한 정부는 신뢰할만 협상파트너가 아니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 클린턴 행정부 이후 미국과 북한과의 핵협상 과정을 자세히 살펴 보면 북한이 여러 차례에 걸쳐 진정성을 가지고 미국과의 협상에 임했다는 것을 있다. 외교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가진 바이든 대통령이 점을 잊지 않기를 기대한다.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 성공을 위해서는 위로부터의 접근 방식과 아래로부터의 접근 방식을 필요에 따라 번갈아가며 적절히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진다. 트럼프 행정부의 탑다운 방식이 많은 한계를 지니기도 했지만 반면에 성과를 보여준 측면도 있듯이 바이든 행정부가 바텀업 방식만을 고집한다면 이는 성과와 더불어 북핵문제 해결의 이니셔티브나 타이밍 등에서 한계를 가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올해 1월에 열린 조선노동당 8차대회에서 새로운 북미관계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북한에 대한 미국의 적대정책 철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앞으로는 강대강, 선대선의 원칙에서 미국을 상대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사실 이와 같은 북한의 주장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여전히 미국과의 대화의지를 표명하고 있다는 것을 있다.

북한의 핵무기는 미국을 선제적으로 공격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아니라 냉전 종식 이후 북한체제의 안보불안을 경감하기 위한 억지력 차원에서 개발되었다. 냉전 종식으로 인해 북한의 우방국이었던 소련이 무너지고 중국이 한국과 수교했을 미국은 세계 유일의 패권국가가 되었으며 한국과 북한과의 경제력과 군사력은 격차가 어마어마하게 벌어지기 시작했다.

한편 시간은 미국 편이 아니다. 지금 순간에도 북한의 핵능력은 증가하고 있으며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에 불안 요소가 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정권의 붕괴라는 희망적 사고에만 매달려 이상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한반도의 평화와 동북아의 안정을 위해 2018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합의한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원칙과 정신을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성명에서 양국은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한반도의 평화체제, 그리고 한반도의 비핵화에 합의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가지 과제는 긴밀히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은 동전의 양면임을 명심해야 한다.

이러한 바탕위에서 바이든 행정부는 한반도에서 평화분위기를 조성하고 상호신뢰를 쌓기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한국 정부와의 긴밀한 협의 속에서 한미연례합동군사훈련의 중지, 대한민국 정부에 전시작전권 반환, 그리고 한국전쟁을 완전히 끝내기 위한 종전선언, 북한 지도자와의 정상회담 등을 조속히 실시해야 한다.

여전히 계속되는 코로나바이러스 판데믹 상황과 여러 산적한 국내외 문제의 시급한 해결을 위해 바이든 대통령은 아마 지금 순간에도 무척 바쁠 것이다. 그러나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체제 수립을 위한 한반도 문제의 해결도 이상 미룰 없는 시급한 과제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약속했듯이 실추된 미국의 신뢰를 회복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세계평화를 위해 민주적이고 새로운 리더십을 보여주기를 기대한다.

P.S. 이 글은 민주평통 오렌지카운티샌디에고 협의회 발행 "통일로 가는 길"에 실렸습니다.